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마트농업
- 신재생에너지
- 초경쟁
- 조직생활
- 바그다드 배터리
- 디지탈농업
- democratizing innovation
- agentic ai
- eric von hippel
- open innovation; 오픈이노베이션; 헨리 체스브로; p&g; p&g 사례
- 스마트팜
- 고대 배터리
- ai agent
- 사용자 혁신
- lead user
- Disruptive
- innovation
- 정밀농업
- BM
- user innovation
- 파괴적혁신
- 초경쟁시대의 전략
- 재생에너지
- Ai
- 에너지 전환
- 권력
- hypercompetition
- 일론머스크
- magentic-one
- HILTI
- Today
- Total
변화에 대하여...
사용자 주도 혁신 - 혁신에도 민주화가 필요하다 본문
사용자 주도 혁신 이란
“사용자 주도 혁신”은 Eric von Hippel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Eric von Hippel은 MIT 슬론 경영대학원의 교수로, 사용자 주도 혁신 이론의 창시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The Sources of Innovation"(1988)과 "Democratizing Innovation"(2005)이 있다.
그는 사용자 혁신이 기업 및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기업의 폐쇄적인 R&D에서 벗어나 사용자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때 '혁신'이 가속된다는 그의 연구는
* 그의 책은 여기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link)
그는 혁신의 주요 아이디어와 기술적 해결책이 종종 기업 내부가 아닌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사용하는 사용자에게서 나온다고 주장했다. 이는 사용자가 “Lead User”로서 실제로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혁신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혁신이론과 차별화된다.
“Lead User”는 일반 소비자보다 앞서 문제를 경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이 과정에서 기업이 간과하거나 상상하지 못한 창의적 아이디어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에릭 폰 히펠은 이를 "혁신의 민주화(democratization of innovation)"라고 명명하며 기업과 사용자간의 협력을 강조했다.
사용자 주도 혁신의 사례
- EGO IDEAS 플랫폼
LEGO는 사용자 커뮤니티에 기반한 혁신 플랫폼 LEGO IDEAS를 운영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LEGO 모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커뮤니티의 지지를 받은 아이디어는 실제 제품으로 출시된다.
이 과정은 사용자와의 협력을 통해 창의적인 제품을 출시할 뿐 아니라 고객 충성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 자신만의 독창적인 레고 창작품(3,000피스)을 올린다. (만 13세 이상 사용자)
- 다른 사용자로부터 1만명의 서포트를 받으면 레고사가 심사
- 심사를 통과하면 레고 상품(발매)이 된다. (로열티 지급)
- GoPro와 스포츠 애호가
GoPro는 초기 제품 개발 단계에서 익스트림 스포츠 애호가들과 협력했다. 사용자들은 카메라 성능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했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제품 설계와 액세서리가 출시되었다.
- Threadless의 티셔츠 디자인 공모
온라인 티셔츠 판매 플랫폼 Threadless는 사용자들이 직접 디자인을 제출하고, 커뮤니티의 투표를 통해 판매 디자인을 선정한다. 이는 고객 참여를 극대화하면서도 독특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모델이다.
- Tesla의 특허 무료 공개
Tesla는 전기차 기술에 관심 있는 사용자들이 혁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특허를 공개했다(2014). 이를 통해 전기차 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기술적 진보를 촉진하고자 했다.
사용자 주도 혁신의 적용 방법
사용자 주도 혁신을 성공적으로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 사용자 커뮤니티 활성화
기업은 사용자들이 의견을 교환하고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야 한다. 포럼, 소셜 미디어, 전용 웹사이트 등 사용자들의 공간이 필요하고 그들의 커뮤니티를 활성화 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리드 유저 식별
리드 유저를 발굴하기 위해 설문조사, 현장 연구, 데이터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그들은 무엇보다 가지고 놀 수 있는 그 무엇을 원한다. - 개방형 혁신 모델 채택
기업 내부의 R&D와 사용자 의견을 통합하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접근법이 필요하다. - 프로토타입 및 피드백 루프
사용자에게 초기 프로토타입을 제공하고 피드백을 수집하여 제품을 개선한다. - 보상 및 인정 제공
혁신에 기여한 사용자에게 금전적 보상, 제품 할인, 공식적인 인정 등을 제공하여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그들을 이용하겠다는 생각은 금물이다. 그들과 열린 마음으로 협력하겠다는 마인드가 필요하다.
사용자 주도 혁신의 한계
사용자 주도 혁신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 리드 유저의 한정성
리드 유저는 일반 소비자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이들의 의견이 대중적인 요구와 다를 수 있다. - 지적 재산권 문제
사용자의 아이디어가 기업에 의해 상업화될 경우, 아이디어 소유권에 대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재료를 주고, 아이디어에 대한 보상을 하지만 상품화는 구분해야 한다. - 혁신 관리의 복잡성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실행하는 데는 높은 조직적 역량이 필요하다.
확장 가능성과 미래 전망
사용자 주도 혁신은 점차 AI, 빅데이터, IoT 기술과 결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분석은 사용자 행동 패턴을 파악하여 리드 유저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AI는 사용자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발전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기업은 사용자와의 협력 범위를 단순히 제품 개발에서 서비스 개선, 사회적 문제 해결까지 확장할 수 있다.
사용자 주도 혁신은 Kaggle, Github, Wikipedia 등 이미 많은 영역에서 확산되고 있다. 우리 기업들도 이런 모델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Thank you for reading this long post.
The English version of this article is available at www.yducklab.com.
(https://www.yducklab.com/2025/01/democratizing-innovation-need-for.html) Thank you! 😊
'변화에 대한 100가지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 혁신과 상호작용 (1) | 2025.01.24 |
---|---|
초경쟁시대의 전략 : 기존 질서와 판을 엎어야 산다! (4) | 2025.01.22 |
파괴적 혁신 이론(Disruptive Innovation) (4) | 2025.01.20 |
'변화'는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2) | 2025.01.20 |
개방형 혁신 - 독불장군은 힘든 세상 : P&G 사례 (1)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