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user innovation
- BM
- magentic-one
- 디지탈농업
- open innovation; 오픈이노베이션; 헨리 체스브로; p&g; p&g 사례
- ai agent
- hypercompetition
- 바그다드 배터리
- 초경쟁
- 조직생활
- 권력
- Ai
- 정밀농업
- lead user
- Disruptive
- 스마트팜
- 초경쟁시대의 전략
- 고대 배터리
- 사용자 혁신
- 신재생에너지
- 스마트농업
- democratizing innovation
- 일론머스크
- HILTI
- 파괴적혁신
- 에너지 전환
- eric von hippel
- agentic ai
- 재생에너지
- innovation
- Today
- Total
목록변화에 대한 100가지 생각 (18)
변화에 대하여...
기술혁신에 관한 몇 가지 생각 전기자동차 시장1900년대 초, 미국 자동차 시장은 증기자동차가 40%, 전기자동차가 38%, 그리고 내연기관 자동차가 22%로 구성되어 있었다. 1917년, 월스트리트 저널은 저렴한 전기차의 등장이 자동차 산업의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그러나 1920년대 석유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상황은 완전히 바뀌었다. 휘발유 가격이 급락하고 내연기관의 기술적 진보로 항속거리가 개선되자 전기차는 점차 시장에서 밀려났다. 이후 약 한 세기 동안 전기차는 자취를 감춘 듯했으나, 2006년 테슬라가 로드스터를 공개하며 다시금 전기차 시대를 열게 된 것이다. 2025년 현재, 전기차 시장은 높은 가격, 충전 인프라 부족, 제한된 주행거리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산적해 있다...

“Hypercompetition” (D’Aveni, Richard) 초경쟁 시대에는 홈런만 기다릴 것이 아니라 선두타자를 출루 시키고, 보내기 번트와 도루, 안타가 필요하다. 기존의 상태를, 기존의 판을 뒤흔들며 나아갈 때, 일시적 우위를 창출하여 변화에 대응하고 게임에서 이길수 있다. 리처드 다베니는 Columbia University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고, Dartmouth College의 Tuck School of Business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2017년에는 Thinkers50 Distinguished Achievement Award와 Strategic Management Society 의 권위 있는 AT Kearney Award를 수상했고, 2020년에는 Thinkers50 명예의 ..

사용자 주도 혁신 이란“사용자 주도 혁신”은 Eric von Hippel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Eric von Hippel은 MIT 슬론 경영대학원의 교수로, 사용자 주도 혁신 이론의 창시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The Sources of Innovation"(1988)과 "Democratizing Innovation"(2005)이 있다. 그는 사용자 혁신이 기업 및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기업의 폐쇄적인 R&D에서 벗어나 사용자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때 '혁신'이 가속된다는 그의 연구는 * 그의 책은 여기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link) 그는 혁신의 주요 아이디어와 기술적 해결책이 종종 기업 내부가 아닌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사..

파괴적 혁신 이론(Disruptive Innovation)파괴적 혁신 이론은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인 클레이튼 크리스텐슨(Clayton Christensen)이 1997년 저서 *"혁신 기업의 딜레마(The Innovator's Dilemma)"*에서 처음 소개했다. 나는 조선호텔 조찬 강연회에서 그의 이론을 처음 듣고 감동을 받고 바로 서점으로 달려가 '혁신기업의 딜레마'를 샀다.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다. 기존 시장의 선도 기업이나 기술을 대체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형성하거나 혁신을 의미하는데, 기존의 선도 기업은 자신들의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 혁신(Sustaining Innovation)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후발주자-새로운 진입..

Lewin의 '변화'Lewin, K. (1951).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A Comprehensive Analysis 심리학자 Kurt Lewin의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1951)을 통해 사회적, 심리적, 조직적 변화의 복잡한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변화의 과정을 3단계로 설명했다. 해빙(unfreezing), 이동(moving), 재결빙(refreezing)의 프로세스를 통해 정적인 상태에서 새로운 상태로 움직인다고 하였다. 이렇게 새로운 단계에 이르면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의 균형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역장(force field)으로 설명했다. 이 책에서 Lewin은 인간 행동이 고립된 상태에서가 아니라 환경..

현대 경제에서 ‘혁신’은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원동력으로 자리잡고 있다.그 중에서도 Open Innovation은 기업이 외부 자원과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혁신으로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술 발전의 속도와 범위를 따라가지 못하는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외부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혁신을 할 수 있겠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이다. 정리해보면, 개방형 혁신은 단순히 내부 연구개발(R&D)만에 의존하지 않고, 외부의 지식, 기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수용하여 혁신 과정을 가속화하고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방법론이다. “헨리 체스브로 : UC버클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비즈니스 스쿨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UC버클리 하스 경영대학원 교수로 재직..